이라크 정부가 미국의 경제 제재로 자국에 묶인 이란 자금 27억6000만 달러(약 3조5000억원)를 동결 해제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 70억 달러(약 9조500억원)의 해제 여부도 주목된다.
이라크 외무부 고위 관리는 이날 푸아드 후세인 이라크 외무장관이 지난 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회담에서 자금 동결 해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관리는 특히 후세인 장관이 회담에서 미국의 허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동결된 자금은 이라크가 미국의 제재 탓에 이란에 지급하지 못한 천연가스 수입 대금으로 알려졌다.
아흐메드 알사흐하프 이라크 외무부 대변인도 이날 후세인 장관과 블링컨 장관의 회담 사실을 확인하면서 “실질적인 합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금액 등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이라크가 제재 탓에 이란에 지급하지 못한 에너지 대금은 110억 달러 규모로 알려졌다. 관련 소식이 전해지자 최근 추락을 거듭하던 이란 리알화의 통화 가치가 안정세를 보였다.
이란 자금 동결 해제는 최근 미국이 중동 국가들과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뤄진 일이어서 주목된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주 사우디를 찾아 안보 강화를 약속했다. 이란 반관영 이스나통신은 지난 8일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과 이라크에 동결된 이란 자금이 조만간 이란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2018년 이란이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탈퇴하자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와 함께 국내 이란의 결제 대금이 동결돼 한국과 이란은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