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을 위한 학교 폐쇄가 고3 수험생의 사교육비와 사교육 의존도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교육개발원 연구팀의 ‘고등학생의 사교육 비용 및 시간에 대한 코호트 간 비교 분석: 코로나19 시기의 학교 폐쇄 효과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린 2020년 이뤄진 학교 폐쇄 조치가 일반고 3학년의 월평균 사교육비를 8만8000원 끌어올렸다. 2020년 당시 고3은 기존보다 1개월 늦은 4월 9일 원격으로 개학했고, 5월 20일 처음 대면 등교하는 등 수업 결손을 겪은 바 있다.
연구진은 2009년 고2, 2010년 고3이었던 일반고 학생 3083명과 2019년 고2, 2020년 고3이었던 일반고 학생 4269명을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교생 가정 소득을 저소득, 중간 소득, 고소득으로 구분해서 보면 저소득 집단에선 8만원, 중간 소득 8만4000원, 고소득 집단 10만3000원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중소도시 10만1000원, 특별시 9만4000원, 읍·면·특수지역 8만4000원, 대도시 7만1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에 참여하는 시간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국어·영어·수학의 1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은 2009년 고2 때 7시간12분이었는데 이듬해 고3으로 올라가 5시간24분으로 줄었다. 반면 2019년 때 고2였던 학생의 1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은 7시간48분으로 10년 전과 유사했지만, 이듬해 3학년으로 올라가 8시간24분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고3보다 2020년 고3이 1주일 평균 3시간 더 사교육을 받은 것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