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한국의 대중 외교정책에 대한 불만을 직설적으로 쏟아냈다. 비판 수위가 매우 높아서 외교적 논란이 예상된다. 싱 대사는 부임 이후 수차례 ‘내정 간섭’ 설화(舌禍)를 일으킨 바 있다.
싱 대사는 이날 이 대표를 서울 성북구 중국대사관저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했다. 중국대사관 측이 먼저 제안해 이뤄진 회동이었다.
이 대표는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간, 양국 국민들 간 신뢰와 존중이 매우 높게 형성됐다 최근 많이 후퇴하고 있다”며 “양국 당국과 국민들 사이에 신뢰가 회복, 확산될 수 있는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싱 대사는 “중·한 관계가 어려움에 부딪혔다”면서 “솔직히 그 책임은 중국에 있지 않다”고 운을 뗐다. 이어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중의 핵심이고 중·한 관계의 기초”라며 “수교할 때 한국도 이에 대해 중국과 엄중히 약속했다. 약속을 제대로 지키라”고 요구했다. 양국 관계가 나빠진 책임이 한국에 있고, 대만 문제에 과도하게 간섭하지 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싱 대사는 또 “미국이 전력으로 중국을 압박하는 상황 속에 (한국) 일각에선 미국이 승리하고 중국이 패배할 것이라는 데 베팅을 하는 것 같은데, 분명히 잘못된 판단이고 역사의 흐름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라며 “아마 앞으로 반드시 후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친미·반중’ 분위기에 강한 반감을 드러내며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이 대표는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중국이 최대 흑자국에서 최대 적자국으로 전환돼 경제가 많은 곤란에 봉착했다”며 대중 무역적자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싱 대사는 “탈중국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한 원인”이라며 “한국이 대중국 협력에 대한 믿음을 굳건히 하고 중국 시장과 산업 구조 변화에 순응하며 대중 투자 전략을 시기적절하게 조성하기만 한다면 중국 경제성장의 보너스를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선 의견을 같이했다. 이 대표는 “가능하면 함께 목소리를 내고 공동 대응책을 강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싱 대사는 “일본이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태평양을 하수도로 삼고 있는 것 같다. 지극히 무책임한 행위”라고 규탄했다. 중국대사관은 이날 싱 대사의 발언을 이례적으로 보도자료로 배포하기도 했다.
이동환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