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박영수(사진) 전 특별검사 측이 대장동 일당에게 200억원 상당의 대가를 먼저 요구했고, 김만배씨가 박 전 특검 딸을 통해 50억원을 주려 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해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 전 특검 측근인 양재식 변호사와 박 전 특검을 조만간 불러 조사한 후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김만배씨와 정영학씨 등 다수의 대장동 민간업자들로부터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에 도움을 주는 것에 대한 대가를 먼저 요구했다’는 내용의 진술을 받아냈다고 한다. 양 변호사는 2014년 11월 컨소시엄 구성 논의 당시 민간업자들에게 “박 전 특검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느냐”고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특검이 대장동 개발사업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한 부분에 대해 사건 실체에 다가가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두 사람과 소환 일정 등을 막바지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번 주 안에 양 변호사를 먼저 출석시킨 뒤 곧이어 박 전 특검을 소환한다는 계획이다.
검찰은 최근 우리은행 임직원 조사 등을 통해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컨소시엄 구성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 상당 부분을 입증했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은 당초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출자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2015년 3월 19일 심사부 반대로 최종 불참을 결정했다. 그 나흘 뒤 1500억원 여신의향서를 제출했는데 박 전 특검은 이 과정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다. 박 전 특검은 같은 해 4월 화천대유자산관리 계좌로 5억원을 이체하는데, 검찰은 박 전 특검이 향후 수수할 금품을 담보 받기 위한 목적의 돈인 것으로 의심한다.
검찰은 2016년 11월 박 전 특검의 국정농단 특검 임명을 전후한 상황도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이 애초 200억원 상당의 부동산 등을 받기로 약정했으나 공직자인 특검에 임명되면서 금품 전달 방식에 제약이 생겼고, 이후 민간업자들이 딸 A씨를 통해 50억원을 우회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검찰은 본다. 2019~2021년 화천대유에서 A씨 계좌로 입금된 대여금 명목 11억원이 박 전 특검이 수수하기로 한 50억원의 일부인지도 수사 중이다. 박 전 특검 측은 “차용증을 작성한 정상적 대출”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A씨는 화천대유가 보유한 대장동 아파트 한 채를 시세 절반 가격에 분양받아 특혜 거래 의혹도 받고 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