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 동결 시술비·산후조리원 지원 신중해야”

입력 2023-06-07 04:04
전종관(왼쪽) 서울대 교수가 지난 5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다태아 부모와의 간담회에서 오세훈(오른쪽) 서울시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다태아 분만에서 국내 최고 권위자인 전종관 서울대병원 교수가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서울시가 지원하는 난자 동결 시술비, 산후조리원 문제를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학적인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해 세심하게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전 교수는 앞선 5일 자신이 집도한 쌍둥이, 세쌍둥이, 네쌍둥이 부모와 함께 오 시장을 만나 저출생 극복방안을 위한 간담회를 했다. 전 교수는 이 자리에서 “난자 동결은 이렇게 많은 예산을 들여 지원할 문제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내년 시비 10억원을 투입해 20~40세 여성 500명에게 최대 200만원씩 난자 동결 시술비를 지원한다고 발표했었다.

전 교수는 난자 동결을 위해선 여성의 과배란을 유도해야 하는데,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채취 과정도 간단하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난자 동결은 배우자가 정해지지 않은 여성이 하다 보니 실제 난자 채취 후 얼마나 쓰게 되는지도 알 수 없어 예산 지원에 신중해야 한다고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연간 1100여명이 난자 동결 시술을 하고 있으며 사용률은 약 10% 정도 수준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전 교수는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선 산후조리원이 오히려 산모의 건강을 위협한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해서도 오 시장에게 신중한 입장을 전달했다고 한다. 그는 “임산부들은 아이를 낳으면 바로 활동해야 한다. 일상에 빨리 복귀하면 할수록 회복이 빨라진다”며 “또 이렇게 움직여야 혈전증 빈도가 낮아진다”고 말했다. 혈전증은 몸의 피가 쉽게 굳는 병으로, 임산부는 출산 이후에도 혈전증 위험이 크다.

전 교수는 “사망까지 이르진 않았지만 혈전증을 앓은 산모를 포함한다면 그 수는 더 많이 늘어날 것”이라며 “혈전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찍 활동을 시작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국내 정서상 산후조리원이 필수적으로 여겨지는 데 대해선 “잘못된 정서”라며 “산후조리원에 갈 돈을 현금으로 받아 산모가 하고 싶은 걸 하고, 먹고 싶은 걸 먹는 게 낫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송파구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 중이고 서대문구에서도 조만간 새로 문을 열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맘카페 조사를 해보면 산후조리 필요성에 공감하는 분이 70% 정도”라며 “의학적 견해와 엄마들의 의견이 달라 사회적 공감대가 모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