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19일부터 생성형 인공지능이 독거노인 등에 안부를 묻고, 필요시 복지서비스까지 연계하는 ‘노인말벗서비스’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챗지피티 등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접목했다.
노인말벗서비스는 AI 상담원이 주 1회 서비스 대상 노인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발신 번호는 도에서 지정한 번호로 표시되며 전화를 받지 않으면 최대 3회까지 전화를 건다. 3회 모두 받지 않으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하고, 수신 여부에 따라 읍·면·동 복지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거주지를 방문해 상황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AI 통화 중 ‘살기 어렵다’ ‘외롭다’ 등 정서·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상담을 진행한다.
도는 사전 발굴 대상자 1800명을 대상으로 7일부터 16일까지 1차 신청을 받아 19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후 서비스를 원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독거노인을 우선 선정하지만, 아니어도 신청할 수 있다.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