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공급가 14% 인상 통보… 주택공급 차질 빚나

입력 2023-06-06 04:04

시멘트업계가 공급가격 추가 인상에 나서면서 2차 ‘레미콘 파동’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단 공사비 상승으로 건설현장 안팎에서 대립이 반복되며 신규 착공 감소부터 입주 및 재개발·재건축사업 지연까지 주택 공급 전반에 차질이 예상된다.

A건설사 관계자는 5일 “건설 주요 자재가 레미콘(콘크리트 반죽)인데 그 주원료인 시멘트 가격이 올라가면 실제 공사비는 크게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에도 시멘트를 시작으로 레미콘과 철근까지 가격이 줄줄이 올랐다”며 “이 3개 자재 인상으로만 원가가 30% 가까이 올랐다”고 덧붙였다.

최근 시멘트업계 1위 쌍용C&E와 성신양회는 레미콘업계에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1종 벌크 시멘트 가격을 약 14%씩 올리겠다고 통보했다. 이들 업계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시멘트 가격을 34% 올린 상태다.

B건설사 관계자는 “시멘트 가격을 올린다고 바로 수용해야 하는 상황은 아닌 것 같지만 그동안 계속 올려왔기 때문에 아무래도 원가 측면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올라가는 공사비를 발주처에서 더 받아줄 수도 없는 형편”이라며 “협의하는 과정도 힘들어 진통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멘트를 사다 건설사에 콘크리트로 납품하는 레미콘업체들은 올해도 “가격 인상을 수용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전국 중소레미콘업체들이 동시 파업에 돌입해 각종 건설공사가 마비되다시피 했다. C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 시멘트 파동으로 레미콘 공급이 현장에서 필요한 수준의 50%까지 감소했다가 이제 좀 회복해서 80%까지 올라간 상황”이라며 “아직 수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공사비 인상분을 집값에 반영하기도 쉽지 않다. B사 관계자는 “공사비가 올라간다고 분양가를 바로바로 올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며 “재개발·재건축사업은 공사비가 올라가면 조합과 다툼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고 했다. A사 관계자는 “앞으로 올라가는 공사비는 향후 분양하는 사업에 반영한다 치더라도 시장이 올라간 분양가를 받아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반복되는 ‘시멘트 대란’으로 가장 먼저 위태로워지는 건 중소건설사다. D건설사 관계자는 “시멘트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 레미콘업체들은 작은 건설사부터 물량을 끊는다”고 했다. 그는 “대형사는 공정을 조정하면서도 버틸 수 있지만 이게 쌓이고 쌓이면 나중에 제때 준공을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