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국제해사기구(IMO)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유엔 안보리가 2일(현지시간)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에 대해 회의를 개최한 것을 문제 삼았다. 북한은 또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 명의의 글을 통해 IMO가 위성 발사 실패 이후 북한을 강력하게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데 대해서도 비난을 쏟아냈다.
특히 북한은 향후 위성을 재발사할 때 IMO에 통보하지 않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만약 북한이 IMO에 위성 재발사 사실을 알리지 않을 경우 위성을 쏘는 시점을 예측하기 힘들어져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은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김 부부장은 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유엔 안보리가 유독 북한의 위성 발사만을 논의하는 차별적이며 무지스러운 처사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부장은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가 미국이 하자는 대로 걸핏하면 북한의 주권적 권리행사를 문제시하는 데 대해 대단히 불쾌하게 생각한다”면서 “가장 불공정하고 편견적이며 내정간섭적인 주권침해 행위로 강력히 규탄배격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또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포함한 주권국가의 모든 합법적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 조치를 지속해서 취해나갈 것”이라며 위성 재발사를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국제사회에 논리적으로 밀리면 안 된다는 절박함이 구구절절 묻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 명의의 글에서 “앞으로 우리가 진행하게 될 위성 발사의 기간과 운반체 낙하지점에 대해 자체로 알아서 대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향후 위성 발사 때 IMO에 사전통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3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을 만나 인양 중인 북한 위성 발사체 잔해물의 공동조사에 합의했다. 한·미는 2012년 12월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 장거리로켓 은하3호 잔해 조사 때도 공동조사단을 구성했었다. 해군은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200㎞쯤 떨어진 바다에 해난구조전대(SSU)를 투입했고, 4일 작업을 이어갔지만 인양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5일에도 현장 상황을 고려해 작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