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급락 사태와 관련해 폭락 종목을 급락 직전에 대량 매도한 거래가 추가로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과 김영민 서울도시가스 회장 등이 폭락 종목을 매도한 것과는 다른 수상한 거래가 드러난 것이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A사 임원의 지인 B씨는 주가 급락일 이전에 해당 종목 일부를 대량 매도한 사실이 적발됐다. 금감원은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 등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검찰에 수사 참고 자료를 넘겼다. 금감원은 SG증권발 사태로 주가가 급락한 8개 종목에 대한 매매내역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정황을 확인했다.
C사에선 차액결제거래(CFD) 담당 임원이 외국 증권사로부터 CFD 업무와 관련해 C사로 가야 할 마케팅 대금을 국내 CFD 매매시스템 개발업체로 송금하도록 하는 등 업무상 배임 정황이 드러났다. 외국 증권사가 CFD 매매시스템 개발업체에 거액의 수수료를 지급한 사례도 확인됐다.
비대면 CFD 계좌 개설 시 본인 확인 절차를 생략하거나 투자자에게 주는 핵심 설명서에 투자 위험을 실제보다 축소해 안내한 사례도 있었다. CFD에 대한 투자 광고에서 CFD 상품 내용을 사실과 다르게 안내한 경우도 나왔다.
금감원은 지난 3일 키움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교보증권 등 CFD 상품을 취급한 다른 증권사에 대해서도 검사를 진행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CFD 거래와 관련한 증권사 검사는 다음 달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추가 검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검사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