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중소기업 제조현장을 지능형 공장으로 고도화하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새롭게 시작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으로 3년간 300억원을 투자해 600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를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2015년 경북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사업의 첫발을 디딘 이래 지난해까지 8년 동안 종소기업 3000여곳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힘을 보탰었다. 이번 3.0 사업은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자리한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한 게 특징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토 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다.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담 조직도 별도 구성해 운영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해 기초적 데이터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업체를 대상으로 고도화를 추진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분석하고 현장 문제점을 선제대응·개선하는 지능형 공장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지역 균형발전은 스마트공장 3.0의 중요한 목표다.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와 스마트공장 지원을 받은 수혜기업이 동참해 지역별로 ‘자생적 스마트공장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일보했다. 일례로 전북도는 올해 도내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구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비용을 일부 지원한다. 전북도는 내년부터 별도로 전북형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했던 전북 소재 중소기업 대표들은 지난 3월에 자발적으로 ‘민간 멘토단(삼성 스마트 CEO포럼)’을 출범했다.
스마트공장 사업은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철학에 기반한 대표적 사회공헌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지원 기업을 선정할 때 장애인 고용 기업, 여성 대표 기업, 사회적 기업을 우대한다.
스마트공장으로 변신한 중소기업들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지난해 9월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사업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은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동일 업종 규모 기준) 대비 2017~2020년 매출이 평균 23.7%, 고용은 26%, 연구·개발(R&D) 투자는 36.8% 성장했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