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워싱턴 회담’ 7~8월 가능성… 3각 공조 강화… 셔틀 정상외교도 거론

입력 2023-05-23 04:08
윤석열 대통령(오른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 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한·미·일 ‘워싱턴 3국 회담’이 오는 7~8월 개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역대 한·미·일 정상회담은 모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등 다자 국제회의를 계기로 열렸다. 이에 따라 올여름 워싱턴에서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한·미·일이 독자적으로 3국 회담을 갖는 첫 사례가 된다.

이는 회담 개최 자체만으로 한·미·일 협력 수준이 한층 더 격상됐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한·미·일 정상 간 정례적인 ‘셔틀외교’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2일 “한·미·일 정상회담을 올여름 워싱턴에서 개최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YTN 인터뷰에서 “날짜를 아직 확정할 수는 없는 단계”라며 “(한·일 정상을) 초청한 미국이 의제와 날짜를 가져올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신범철 국방부 차관도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여름이 될 수도 있고 또는 9월 유엔총회 가기 직전 워싱턴에서 만나 3국 정상이 따로 별도 시간을 충분히 갖는 형태도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G7 정상회의가 열렸던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2분간 약식회담하는 자리에서 한·일 정상을 워싱턴으로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워싱턴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는 히로시마에서 3국 정상이 합의한 ‘새로운 수준의 3국 공조’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 차장은 이와 관련해 “(한·미·일) 세 나라의 안보 공조를 조금 더 질적으로 강화하고, 경제 공급망 그리고 인적 교류라든지, 이런 사회문화 분야까지 그동안 소홀히 했던 협력 어젠다를 구체화해 나가자는 의미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미·일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북한의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체계가 가동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새로운 수준’의 공조는 3국 정상 간 협력체계를 정례화된 협의체 수준으로까지 높이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 한·미·일 3국 협의체가 더욱 공고해질 경우 중국을 견제하는 성격의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 안보협의체 ‘쿼드’를 뛰어넘는 협력체계가 구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3국 협력이 장기적으로 잘 발전하면 한·미·일 셔틀 정상외교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