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이후의 ‘넥스트 팬데믹’ 대응을 위해 검역 대상 감염병을 20여개로 확대하고, 입국 전후 검사제도 및 격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기로 했다. 공항과 항만 검역의 벽을 높여 해외 유입 감염병을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정부 차원에서 나온 최초의 검역관리 기본계획이다.
우선 정부는 검역하는 감염병 종류를 현행 11개에서 뎅기열, 홍역 등을 추가해 2027년까지 20여개로 단계적으로 늘린다. 유입 가능성, 치명률, 전파력 등을 고려해 추가 대상을 결정할 계획이다. 입국 당시 걸러내지 못한 감염병은 공항과 항만 주변 하수검사를 통해 추적, 발견하는 체계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국가별 위험도 평가, 해외입국자 방역 조치 등을 논의하는 감염병 해외유입상황평가회의를 연 2회 개최할 방침이다. 특히 코로나19 같은 감염성이 높은 질병으로 인한 위기상황 시에는 최대 주 1회에서 최소 월 1회 열릴 예정이다.
해외감염병신고센터 접근성도 강화한다. 질병청에 따르면 현재 인천공항, 무안공항, 김해공항 등 3곳에서만 해외감염병신고센터의 접근성이 높다. 나머지 공항과 항만은 검역소에서 신고센터를 병행하지만 거리가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 질병청은 오프라인 신고센터를 개선하고 온라인 해외감염병신고센터를 2025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또 지난해 3월 도입된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큐코드)을 항만까지 확대하고, QR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증상 확인 후 개폐되는 자동검역심사대를 올 하반기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감염병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입국장의 차단문이 아예 열리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얘기다. 선박·항공기 등 국외에서 들어오는 운송수단과 화물 검역도 강화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을 통해 해외 질병의 유입·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정책을 향후 5년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차민주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