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정류장에 안내 단말기(BIT)가 절반도 설치되지 않아 장애인·노인 등 교통 약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배차 간격과 도착시각 등 승차에 필요한 정보가 원활히 제공되지 못해 대중교통 활성화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광주 지역 전체 시내버스 정류장 2369곳 중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곳은 1107개로 47% 수준에 불과하다.
서울 지역(86%)의 절반 수준이고 도시 규모가 비슷한 대전 57%에 비해서도 훨씬 낮다. 5개 자치구별 설치비율은 동구 59%, 서구 61%, 남구 48%, 북구 50%, 광산구 33% 정도다. 도농복합지역인 광산구와 남구의 사정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이로 인해 음성·LED 스크린 안내시설이 필수적인 시각·청각 장애인들은 정류장에 도착하는 시내버스 노선번호와 도착 예정 시간 등 기본 정보를 제때 알 수 없어 매번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노인들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다.
대표적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 이용 활성화에도 부정적이다. 최근 실시간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는 안내시설이 추가 설치되고 있지만 시야 확보를 위해 통유리로 된 쉘터(버스 대합시설)가 없는 정류장도 상당수다. 이에 따라 시내버스 이용객들이 땡볕 더위와 한파는 물론 비와 눈을 피하지 못할 때가 많다.
정류장 지정·운영은 광주시가 맡고, 쉘터 설치와 관리는 5개 자치구로 관련 업무가 이원화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자치구들은 해마다 쉘터 위탁관리 업체를 선정해 시설 유지·보수업무 일관성을 해치고 있다. 광주시는 유동인구와 교통여건, 시내버스 운영의 효율성 등을 감안해 안내단말기 시설을 확대하고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가 올해 정류장 안내 단말기 설치를 위해 확보한 예산은 1억5000만원이다. 지난해보다 3억9000만원이 깎였다. 시민단체와 장애인단체들은 “안내 단말기와 쉘터시설 등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대중교통 편리성이 증대될 것”이라며 “질병·사고·장애 등을 막는 돌봄통합도 중요하지만 장애인 접근·편의성,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전제한 교통행정도 광주공동체에 꼭 필요하다”고 개선을 촉구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