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포괄적인 중국 견제 조치를 담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대해 “내정에 간섭하려 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러시아도 “러시아·중국 이중 봉쇄를 목표로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 외교부는 20일 밤 논평을 내고 “G7이 중국 관련 의제를 조작하고, 중국을 공격하고, 내정 간섭을 거칠게 하는 것에 대해 중국은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 등 유관국가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엄정한 교섭은 외교적인 항의를 말한다.
또 “대만은 중국의 대만이며, 대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의 일”이라며 “누구도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수호하기 위한 중국 인민의 굳건한 결심, 확고한 의지, 강력한 능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콩·신장·티베트 문제에 대해서도 “‘인권’을 내세운 외부세력의 간섭을 단호히 반대한다”며 “G7은 중국에 이래라저래라 하는 것을 멈추고 역사와 인권 악행을 깊이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G7의 ‘경제적 강압 대응’ 관련 성명에는 “미국이야말로 경제 및 무역 관계를 정치화하고 무기화하는 진정한 ‘협박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구의 일부 선진국이 다른 나라의 내정에 자의적으로 간섭하고 세계 문제를 조작하던 시대는 지났다”며 “G7 회원국들이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소인배’ 행위를 중단하고 대화와 협력의 올바른 길로 돌아오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G7 공동성명에 대해 “러시아와 중국의 이중 봉쇄를 목표로 하는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제31차 외교·국방 정책 이사회 총회에서 “러시아가 미국·유럽연합(EU)·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로 구성된 공격적인 블록과 가장 극적인 대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며 “G7이 전장에서 러시아를 물리치는 데 멈추지 않고 향후 지정학적 경쟁자로서 제거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김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