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이 21일 일본에 도착해 본격적인 시찰 활동에 나선다. 시찰단은 오염수를 저장하는 K4 탱크와 오염수를 정화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시찰단은 오염수 방류 과정의 안전성도 점검할 방침이다.
정부는 원자력안전위원장인 유국희 단장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 19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문가 1명 등 모두 21명으로 시찰단을 구성했다. 시찰단은 이날부터 26일까지 5박6일 일정으로 출국했으며, 일본 측과의 회의 및 현장시찰 등 본격적인 활동은 22∼25일 나흘간 진행한다.
유 단장은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국민을 안심시키는 것도 저희 역할”이라며 “과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가 본 것이 뭔지, 추가 확인할 것이 뭔지 충분히 설명하면 국민도 많이 신뢰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유 단장은 이어 “일본의 계획이 적정한지에 대한 전체적인 검증 과정 중 하나로 현장에서 확인할 부분을 확인하고 점검하고 오겠다”면서 “안전성 평가의 완결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민간 전문가 의견도 충분히 듣겠다”고 강조했다.
유 단장은 시찰 일정과 관련해 “먼저 22일 현장 확인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일본 도쿄전력 관계자와 회의를 통해 세부 시찰 항목을 체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단장은 이어 후쿠시마 원전 현장방문 첫날인 23일에는 “오염수가 저장된 탱크를 시작으로, 특히 K4 탱크군을 중점적으로 볼 것”이라며 “ALPS에 접근해서 설비 설치 상태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단장은 현장방문 이튿날인 24일에는 “오염수를 분석하는 화학 분석동을 방문한다”며 “핵종 분석을 어떤 절차에 따라 하는지, 장비는 뭘 쓰는지 직접 확인하고 오염수 희석 (관련 설비) 설치 상태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단장은 “오염수 발생부터 방류 지점까지 전반적으로 볼 계획”이라며 “ALPS를 중심으로 핵종 제거가 제대로 될 수 있는지, 방류 관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체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단장은 시료 채취와 오염수 자체 검증이 빠진 데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증팀에 있는 우리 전문가 한 분이 시료 채취 검증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시료 세 가지를 갖고 있고, 우리가 최인접국이기 때문에 나름의 별도 검토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선 박준상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