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18 광주 총출동한 여야, 오월 정신 실천으로 이어지길

입력 2023-05-19 04:01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인 18일 여야 정치권 핵심 인사들이 광주로 총출동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보수 정당 출신 대통령이 취임 이후 2년 연속 5·18 기념식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국민의힘도 김기현 대표 등 지도부 전원을 비롯해 90여명의 의원들이 참석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광주와 호남의 민심을 얻으려는 행보라는 시선도 있지만 설사 그렇더라도 높이 평가할 일이다. 5·18이 특정 정파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기리고 계승해야 할 역사적 자산이 됐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오월의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이고,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며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밝혔다. 대통령이 강조했듯 5·18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사건이다. 1980년 5월 신군부의 정권 찬탈과 헌정 질서 유린에 반발한 민초들이 민주주의를 지켜내려고 목숨까지 내던져가며 싸웠다. 당시에는 군부의 총칼에 꺾였지만 그 정신은 면면이 이어져 민주화의 꽃을 피우는 밑거름이 됐다. 다른 나라들이 인정하고 부러워하는 한국의 민주화는 신군부의 총칼에 맞서 싸웠던 시민들에게 큰 빚을 지고 있다. 희생자들을 예우하고 5·18 정신을 실천·계승하는 데 국민 모두가 한마음이 돼야 하는 이유다.

5·18은 한동안 금기시됐지만 1995년 특별법이 제정된 데 이어 97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정부 주관으로 매년 기념식을 여는 등 제자리 찾기가 진행돼 왔다. 전두환 전 대통령 등 신군부 인사들이 단죄됐고 피해자에 대한 명예회복과 보상도 이뤄졌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남아 있다. 5·18 진압 당시 실질적인 지휘체계, 계엄군 발포 경위와 책임 소재, 헬기 사격 의혹, 민간인 살상·상해·성폭력 의혹, 행방불명 및 암매장 의혹 등 규명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다. 5·18에 대한 왜곡·폄훼도 더는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헌법 전문 수록 반대’ 발언에서 보듯 5·18을 폄훼하는 세력의 뿌리가 깊다. 여권은 이들과 단호히 단절함으로써 오월 정신 실천의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 개헌 논의가 이뤄진다면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도 적극 검토해야 마땅하다. 광주 총출동이 보여주기에 그쳐선 안 된다.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오월의 정신 아래 우리는 모두 하나”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