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기능성 소재 사업 본격 추진… 24조 시장 정조준

입력 2023-05-18 04:07

LG전자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신소재’를 꼽았다. 유리 파우더 등 기능성 소재 신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유리 파우더 관련 시장 규모는 올해 2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LG전자는 17일 독자적인 유리 조성 설계기술과 가전제품 실사용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항균 성능을 갖는 유리 파우더(사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리 파우더는 유리를 분쇄해 얻는 미세한 입자다. 유리계 소재는 화학적·열적·변색 안정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도 갖고 있다.

항균 유리 파우더는 플라스틱, 섬유, 페인트, 코팅제 등 다양한 소재를 만들 때 첨가하면 항균·항곰팡이 성능을 갖출 수 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LG 가전에 항균 유리 파우더를 적용했다. 신체와 자주 접하는 손잡이와 같은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할 때 첨가해 고객이 제품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LG전자는 항균 유리 파우더의 강점인 유리 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방출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수용성 유리까지 개발했다. 수용성 유리는 물에 녹으면 무기질 이온 상태로 변한다. 이는 바닷속 미세조류와 해조류 성장을 돕는다.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항균 유리 파우더 사업을 앞세워 신개념 기능성 소재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해양 생태계 복원시장으로도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지난해 정관에 ‘유리 파우더 등 기능성 소재 제작 및 판매업’을 추가했다. LG전자는 세탁기의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통해 해양 생태계 보전에 기여하고, 글로벌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인 활동과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주도하는 사단법인 한국물포럼과 적극 협업하고 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