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액의 가상자산(코인) 보유 논란으로 탈당한 김남국 의원 조치 문제를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 불만의 목소리가 들불처럼 끓어오르고 있다.
비명(비이재명)계 조응천 의원은 16일 YTN라디오에서 “지금은 ‘사법리스크’가 문제가 아니라 ‘리더십 리스크’(가 문제)”라며 “김 의원은 이재명 대표의 어마어마한 측근인데도 제대로 맺고 끊는 것이 전혀 없었다”고 질타했다.
김종민 의원도 BBS라디오에서 “김 의원이 조사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징계 회피 목적 탈당’으로 간주해 엄하게 징계하겠다고 해야 ‘짜고 치는 탈당’이 아닌 게 입증된다”며 “측근이라도 ‘읍참마속’하지 않으면 (부담이) 쌓인다. 이 대표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당 지도부는 김 의원을 조사해 징계 사유가 확인되더라도 당규상 탈당한 김 의원을 제재할 방도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복당 불허’ 등 강한 징계를 해야 한다는 요구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특히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해 김 의원을 조사·징계하자는 요구에 대해서도 “진상조사가 우선”이라는 주장을 고수하며 수용하지 않고 있다.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의원은 “윤리위에 이미 제소된 의원이 여야 합쳐 30명 이상인데, 그중 김 의원만 처리하자고 민주당이 주장하는 것도 이상하다”며 “제소된 국민의힘 의원들은 윤리에 문제가 없는 것이냐”고 말했다.
그렇다고 진상조사에 진척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진상조사팀 소속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이날 “탈당이라는 상황 변화가 있었으니 다시 한번 김 의원에게 자료와 협조를 요청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며 “김 의원이 협조하지 않으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여야 공동으로 김 의원을 윤리특위에 제소하자며 민주당을 압박했다. 이양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민주당 소속 변재일 윤리특위 위원장과 송기헌 원내수석부대표를 만나 “징계안을 여야 공동으로 발의하면 내일(17일) 전체회의에서 안건을 올리고 의결해 자문위원회로 보낼 수 있다”며 “국민 공분이 크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제안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송 원내수석부대표는 “공동 징계안 제출은 (진상조사) 상황을 보고 간사 간 협의에 따라 하겠다”고 즉답을 거부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계파색이 옅은 한 민주당 의원은 “다음 워크숍이나 의총에서는 이 대표 리더십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더 커져 상당히 험악한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동환 박장군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