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 때 건설된 4대강 보를 가뭄 등 물 부족 위기에 활용하는 데 국민 80% 이상이 찬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환경부가 내놨다. 보 활용을 지지하는 비율은 보 인근 주민이 일반 국민보다 높았다.
환경부는 지난달 18~23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4대강 보를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수계 인근 지역 주민 400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설문으로 진행됐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우선 ‘가뭄 등 물 부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보에 저장된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4247명(84.9%)이었다. 보 인근 주민의 경우 찬성이 86.8%가 찬성했고, 반대는 13%로 나타났다. 일반 응답자는 찬성이 77.4%, 반대가 13.6%였다.
보 활용에 찬성한 보 인근 주민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부분(중복응답)으로 ‘생활용수나 농업·공업용수 공급’(81.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일반 응답자 역시 ‘생활용수나 농업·공업용수 공급’(75.9%)을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홍수로 인한 침수 피해 방지’(29.5%)가 뒤를 이었다.
4대강 보 활용이 필요하지 않다고 보는 응답자(753명·15.1%) 중에선 절반 이상(중복응답)인 56.4%가 ‘강은 막히지 않고 자연적으로 흘러야 한다’고 답했다. 이 비율은 보 인근 주민(57.7%)이 일반 국민(51.5%)보다 더 높았다.
환경단체는 환경부의 설문 자체가 특정한 답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설계됐다고 비판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비슷한 유형의 앞선 설문조사 결과와 너무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설문조사 지문과 질문의 설계 자체가 왜곡돼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이날 낙동강 녹조 대량 발생 상황을 막고자 하천부지나 제방 등 공유부지에 쌓인 퇴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도 발표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