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오는 2030년까지 배터리 소재 부문의 매출을 30조원으로 끌어올려 세계 최대 배터리 소재 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16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코리아&글로벌 전기차·이차전지 컨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배터리 소재 매출을 지난해 4조7000억원에서 2030년 30조원으로 6배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LG화학은 3대 신(新)성장동력인 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혁신 신약의 매출 비중을 지난해 기준 21%(6조6000억원)에서 2030년 57%(40조원)까지 높일 방침이다. 기존 석유화학 중심의 사업구조를 재편해 ‘글로벌 톱 과학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구상이다. 신 부회장은 “LG화학의 중심축이 3대 성장동력 비즈니스로 이동하는 근본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LG화학은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 외에 분리막, 탄소나노튜브(CNT) 등의 부가소재 사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퓨어 실리콘 음극재,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과 같은 신소재 연구·개발(R&D)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하이니켈 양극재는 한·중·미·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생산체계’를 구축해 현재 연산 12만t 규모인 생산능력을 오는 2028년 47만t까지 확장한다.
친환경 소재와 바이오 부문도 매출도 2030년에 각각 8조원, 2조원까지 끌어올린다. 신 부회장은 “지난 4년간 뼈를 깎는 노력으로 경영 체제 전반의 혁신을 지속해왔다.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틀을 완성하고, 3대 핵심사업을 보유한 글로벌 과학기업으로 대전환을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