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정부가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에 기준금리 97%라는 극약처방을 내놓을 전망이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인플레이션의 악순환을 끊어낼지는 미지수다. 이미 지난달 기준금리가 91%였고, 수십 년간 온갖 종류의 대책이 나왔지만 ‘백약이 무효’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은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정부가 이 같은 기준금리 인상을 포함한 비상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아르헨티나의 지난달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은 84%였다. 당국이나 전문가들이 전혀 예측하지 못한 수치였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108.8%로, 넉 달 만에 지난해 물가의 두 배 이상이 올랐다.
FT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재정 적자를 해결한다는 명목으로 화폐를 마구 찍어내면서 인플레가 더 악화하고 있다”면서 “올해 물가상승률은 1991년 이후 최대”라고 전했다.
세르히오 마사 경제장관은 고위 각료들과 물가 억제를 위해 마라톤 회의를 진행한 뒤 15일 비상대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현재 91%인 기준금리를 6% 포인트 더 인상하는 방안과 달러 대 페소 환율 관리 대책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르헨티나 현지 언론들은 이번 회의에서 일부 관료가 ‘기준금리 110% 인상안’까지 내놨다고 전했다. 이 정도의 초강수를 둬야 환율이 안정되고 인플레도 잡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달러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소매상들이 생활필수품을 포함한 소비재 가격을 크게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이밖에 중국과의 경제협력 확대를 모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덧붙였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