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전격 탈당을 선언했지만, 민주당은 탈당 후에도 계속될 여진을 감안해 추가 조사를 진행키로 했다.
박광온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밤늦게까지 진행된 ‘쇄신 의원총회’ 후 발표한 결의문에서 김 의원을 향해 “탈당으로 모든 일이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추가조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엄정한 조사 후 징계하는 원칙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또 “공직자 재산신고와 이해충돌 방지 제도의 허점이 드러났다”면서 “가상자산(코인)을 재산신고와 이해충돌 내역에 포함시켜서 법의 미비점과 제도의 허점을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특히 “민주당은 이달 중 관련 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키고, 부칙에 즉각 시행을 명시할 것”이라며 “법이 통과되는 즉시 국회의원을 포함한 모든 고위 공직자가 가상자산을 신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김 의원을 민주당이 자체적으로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요구도 쏟아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의원에 대한 민주당의 윤리감찰은 중단됐다.
민주당의 끝장 의총에서는 당 쇄신과 신뢰 회복 방안에 대한 국민·당원 여론조사, 소속 의원 심층 설문조사 결과가 공유됐다. 김 의원 진상조사팀의 조사 결과도 보고됐다. 이소영 원내대변인은 “국민 절반 이상이 최근 ‘돈봉투’ 의혹을 포함한 민주당 관련 사건들에 대해 당의 대처가 잘못됐다고 보고 있다”며 “우리 스스로 철저히 쇄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시사점이 있었다”고 밝혔다.
비명(비이재명)계는 민주당 지도부가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김 의원 논란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쏟아냈다. 박용진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김 의원의 무책임한 탈당에 구성원들은 분노하고 있다”며 “지금처럼 늑장 대응해선 민주당이 다 죽게 생겼으니, 당대표가 쇄신의 칼을 휘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비명계 중진 이원욱 의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당원에 대한 사과 운운하며 국민에 대한 책임은 피해가는 ‘꼼수 탈당’”이라며 “당 스스로 자정능력이 없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지도부에선 김 의원이 요청한 자료 일부를 제출하지 않아 사실관계 파악이 어려웠던 상황을 감안하면, ‘탈당 결단’을 빨리 내린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이동환 박장군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