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이르면 이번 주 윤관석·이성만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번 사건의 최종 수혜자로 꼽히는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에 대한 직접 조사도 이달 중 이뤄질 수 있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김영철)는 윤·이 의원과 금명간 출석 일정 조율을 마친 뒤 19일 이전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당사자가 요구할 경우 비공개로 출석할 수 있으나 두 의원은 공개 출석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은 2021년 5월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강래구(구속) 전 한국감사협회장이 마련한 현금 6000만원을 송 전 대표 보좌관이던 박모씨와 이정근(수감 중)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을 통해 전달받아 소속 의원들에게 뿌린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의원은 강씨가 마련한 현금 1000만원 중 900만원을 송 전 대표의 경선캠프 지역본부장들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강씨의 구속 수사 기한인 오는 27일까지 자금 출처, 돈봉투 살포 범위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강씨가 검찰 조사에서 돈봉투 전달 대상에 대해 “윤 의원이 안다면 알 것”이란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져 검찰이 현역 의원들로부터 유의미한 진술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강씨는 ‘현역 의원에 대한 돈봉투 전달에는 관여하지 않았으며, 캠프 지역본부장 등 일부 인사에게 돈봉투를 건네기는 했으나 매표 행위는 아니다’는 취지로 항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과 이 의원도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부총장 전화 녹음 파일에서 ‘스폰서’로 거론된 사업가 김모씨로부터 의원들에게 제공될 돈을 자신이 마련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하면서 자금 조성 및 조달 규명의 실마리를 확보한 상황이다. 학생운동 경력의 김씨가 송 전 대표뿐 아니라 민주당 ‘86그룹’ 의원들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그가 송 전 대표 측에 별도의 추가 금품을 건넸을 가능성도 검찰은 살펴보고 있다.
박재현 신지호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