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해 기록적인 폭우 등 여름철 재해와 안전사고 발생에 대비해 15일부터 5개월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한다.
서울시는 14일 폭염, 수방, 안전, 보건 4대 분야 18개 과제 세부 대책을 담은 ‘2023년 여름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폭염대비를 위해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폭염 위기경보 단계별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주의·경계 단계에서는 종합지원상황실, 심각 단계에서는 재난안전대책본부가 구성된다. 취약계층 안부를 확인하는 생활지원반과 전력수급안정대책·시설 관리 등을 담당하는 에너지복구반이 신설된다. 무더위쉼터는 복지관, 경로관, 주민센터 등 4200개를 목표로 운영한다. 노숙인 밀집 지역은 혹서기 응급구호반이, 쪽방촌은 특별대책반이 각각 순찰한다.
지난해 신림동 반지하주택 침수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해 수방 대책도 실행한다.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구조구급반, 의료방역반, 생활지원반 등 13개 실무반으로 구성되며 강우 상황별 3단계 비상근무를 한다. 일정 기준 이상 강우와 수심이 측정되면 미리 침수를 경고하는 침수 예·경보제를 전국 최초로 시행하고, 반지하에 거주하는 침수 재해 약자의 신속한 대피를 돕는 동행파트너 서비스를 도입한다.
여름철 근로자의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중대재해감시단은 건설 공사장 2500여곳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에 나선다. 휴가철 인파가 모이는 놀이기구시설 65곳, 공연장 438곳, 공원시설 107곳 등도 일제히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보건 분야의 경우 다음 달 1일부터 코로나19 일상 회복을 추진한다. 정수용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올해도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와 무더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더 촘촘하고 빈틈없는 안전대책을 수립해 각종 여름철 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