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중대 위협… G7서 한·미·일 긴밀히 소통”

입력 2023-05-08 04:04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소수 참모만 배석한 가운데 소인수 회담을 하고 있다. 두 정상은 이후 확대 회담까지 포함해 102분간 머리를 맞댄 뒤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한·일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한반도와 일본은 물론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중대한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한·미 핵협의그룹(NCG) 창설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워싱턴 선언’에 관한 일본의 참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워싱턴 선언이 완결된 것이 아니고, 계속 논의를 하고 또 공동기획 및 공동실행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내용을 채워가야 하는 입장”이라며 “이것이 궤도에 오르면, 일본도 미국과의 관계에서 준비가 되면 언제든 같이 협력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채택된 워싱턴 선언이 한·미·일 협력으로 확대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이에 관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NCG는) 한·미 간 일대일, 집중적인 고위급 상설 협의체이기 때문에 어떻게 변화시키거나 바꿀 의향이 없다”면서 “한·미 간 (논의가) 활성화된 다음에 한·미·일 간 확장억제를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지, 지금 우리가 만들어놓은 한·미 핵협의그룹을 3자나 4자로 확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일 안보협력과 관련해 “지난해 11월 프놈펜에서 열린 3국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 관련 실현 방안의 당국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환영하고, 앞으로도 3국 간 안보협력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도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북한의 도발 행위가 계속되고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의 시도가 보이는 가운데 미·일동맹과 한·미동맹, 한·일 그리고 한·미·일 간 안보협력을 통해 억지력과 대처력을 강화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인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를 둘러싼 국제사회 정세도 한·일 간 협력을 한층 더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며 “(오는 19~21일)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한·미·일 정상회의를 개최해 한층 더 논의를 심화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정부가 최근 내전 중인 수단에서 일본인 철수를 도와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 기시다 총리는 “인명이 걸려 있는 곤란한 상황에서 한국 측이 대단히 큰 협력을 해준 데 대해 다시금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