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 ‘뜬금 없는’ 재난 문자 사라진다

입력 2023-05-08 04:06
지난달 28일 오후 9시38분쯤 지진이 발생했다는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가 8분 뒤 "지진발생 재난 훈련 메시지"였다고 알린 서울 종로구 긴급재난문자. 연합뉴스

다른 지역 사건이나 중복 경고 등으로 인한 한밤중 ‘뜬금 없는’ 재난 문자가 사라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늘어나는 재난 문자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재난 문자 송출 기준을 하반기까지 단계적으로 개선한다고 7일 밝혔다.

위급재난, 긴급재난, 안전안내문자로 구성된 재난문자는 2019년까지 연평균 414건이 송출됐다. 그러나 2020년부터 코로나19 안내문자가 송출되면서 3년간 연평균 5만4402건으로 131배나 급증했다. 특히 먼 지역 지진으로 인한 한밤중 경보음이나 겨울철 단순 빙판길 안내, 빈번한 실종자 찾기 안내 문자 등으로 국민적 불편이 제기됐다.

행안부는 기상청·경찰청 등과 협의해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지진은 송출 대상지역을 현행 광역 시·도에서 시·군·구 단위로 변경해 원거리 주민에게 송출되지 않도록 했다. 극한 호우 시에는 기상청에서 읍면동 단위로 위험지역 주민에게 직접 재난 문자를 발송한다. 대설이 내리면 도로 통제 시에만 발송키로 했다. 아동 실종 경보는 장기 개선 과제로 분류하고, 수신전용 ‘엠버 채널’을 2025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