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기업과 손잡고 ‘통근버스, 수소버스로 전환’ 박차

입력 2023-05-05 04:03

민·관이 손잡고 기업 통근버스를 친환경 수소버스(사진)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포스코이앤씨가 통근용 고상 수소버스를 국내 최초로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SK실트론도 통근버스를 수소버스로 바꾸는 걸 검토 중이다.

환경부는 4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SK E&S, 현대자동차, 전국전세버스조합 등과 ‘ESG선도기업 수소 통근버스 전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 오성문 전국전세버스연합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환경부는 연내 250대를 포함해 2026년까지 누적 2000대의 기업 통근버스를 수소버스로 바꿀 수 있도록 지원한다. 수소버스의 성능 보증기간을 늘리고 충분한 구매 보조금을 확보할 예정이다.

수소버스 제조사인 현대차는 수소 고상버스를 생산·공급한다. 지난 4월 출시한 수소버스는 유니버스형으로, 고속형 대형버스급에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친환경 차량이다.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최대 635㎞다. SK E&S는 수소버스의 연료인 액화수소를 생산·공급하고, 충전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올해 말 인천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연간 최대 3만t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을 예정하고 있다.

고정 노선을 장기 운행하는 통근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현재 국내 전세버스(경유버스) 4만여대의 88.6%인 3만5000여대가 통근·통학용으로 운행 중이다. 이를 수소버스로 교체하면 연간 220만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다. 기존 경유·CNG버스 대비 소음과 진동이 적어 승차감이 좋은 편이다. 수소버스의 충전 속도는 10분 내외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