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당사자로 지목된 윤관석·이성만 의원이 3일 자진 탈당을 선언했다. 이에 민주당 지도부는 일단 부담을 덜게 됐지만, 향후 검찰 수사에 따라 돈봉투 의혹이 다시 부각돼 민주당에 타격을 줄 가능성은 여전하다.
윤관석·이성만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뒤 “선당후사의 마음으로 탈당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이 지난달 12일 두 의원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진행한 지 3주 만이다. 두 의원은 전당대회 당시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가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을 통해 전달한 불법자금 9000여만원을 당내에 뿌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윤 의원은 “당에 누를 끼치고 국민들에게 걱정 끼친 점을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법적 투쟁으로 진실을 밝히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표는 ‘직접 탈당을 설득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본인들이 당을 위해 결단하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이 대표는 두 의원의 탈당 의사를 전달받고 “끝까지 같이 못해 미안하다. 결단해준 것에 감사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의원은 돈봉투 의혹의 핵심 인물인 송영길 전 대표가 지난달 22일 탈당을 선언한 뒤에도 혐의를 부인하며 검찰에서 소명하겠다는 의사를 고수해 왔다. 그러나 이번 의혹이 내년 총선 악재로 부각돼 거취에 대한 당내 압박이 거세지자 결국 탈당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송 전 대표에 이어 두 의원까지 탈당하자 민주당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당이 마음의 부담을 덜었다”며 “지지율 반등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의혹은 언제든 다시 민주당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돈봉투를 받았다는 의원들 명단을 담은 지라시(정보지)가 이미 돌았는데, 일부라도 혐의가 드러난다면 당은 이들의 처분을 놓고 또 골머리를 앓게 된다. 두 의원 체포동의안이 국회로 넘어오는 상황도 딜레마다. 체포동의안을 가결시키면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부결시켰던 때와 비교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비이재명계가 이 대표 거취 문제를 제기하며 계파 갈등이 재점화될 수 있다.
불안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도 터져 나왔다. 자유토론 발언에선 이번 의혹을 중대하게 다뤄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당이 자체 진상조사를 접은 데 대한 비판과 함께 두 의원의 탈당이 너무 늦어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일부 의원은 이 대표를 향해 “본인의 사법 리스크 때문에 강하게 대처하지 못한 것 아니냐. 기소된 의원의 출당 원칙과 기준이 뭐냐”고 따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소영 원내대변인은 당 쇄신안 도출과 관련해 “이른 시일 내 워크숍을 개최하자는 데 합의했다”고 전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의총 후 “탈당으로 이번 사건이 끝났다거나 위험을 넘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당내 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철저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박장군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