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부채·부동산 침체가 금융시장 최대 리스크”

입력 2023-05-04 04:03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가 한국의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최대 위험 요인으로 높은 가계부채 수준과 부동산시장 침체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가계의 높은 부채 및 상환 부담 증가’(53.9%), ‘부동산시장 침체’(48.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 인출 가능성’(43.4%) 등을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하반기 조사에 이어 가계부채 리스크를 꼽은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부동산시장 침체라고 한 응답은 지난해 36.1%에서 이번에 48.7%로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관련 리스크는 앞으로 1~3년 새 위험이 현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가계부채를 제외한 주요 리스크는 주로 1년 이내에 닥칠 수 있다고 응답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난해 11월 58.3%에서 36.8%로 응답률이 크게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려면 정부가 금융기관의 유동성 대응 능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대내외 금융시장 불안이 커질 때 적절한 유동성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금융기관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및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한 잠재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장기적 시계에서 부동산 및 금리 정책을 운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