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한의사를 제외한 보건의료 단체들이 간호법 통과에 반발해 3일과 11일 부분파업(연가·단축진료)을 벌인 뒤 오는 17일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 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총파업을 벌이겠다는 ‘압박 카드’도 내놨다.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간무협) 등 13개 단체가 참여한 보건복지의료연대는 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투쟁 계획을 밝혔다. 우선 3일 간무협 주도로 간호조무사들이 연가를 낸 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등 전국 곳곳에서 집회를 연다. 간무협이 주도하지만, 의협 등 다른 직역도 적극 연대한다는 입장이어서 단축 진료를 하는 병원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대에 나서는 대한응급구조사협회도 당장 3일부터 응급차 일부를 운행하지 않을 방침이다. 현실화되면 응급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불가피하다. 강용수 대한응급구조사협회장은 “민간이송단 소속 응급구조사들이 응급환자 이송 업무를 중단하는 등 연가 투쟁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연대는 3일 1차 연가투쟁을 벌인 뒤 11일에도 2차 부분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의료연대 측은 윤 대통령이 간호법 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이달 17일 400만명의 의료인력이 연대하는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박명하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전공의와 교수, 개원의를 포함해 83%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다’는 의지를 비쳤다”고 했다. 의협은 파업 찬반 투표에 참여한 의사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등 필수 의료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전공의들은 총파업을 두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강민구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공의도 의협 회원이기 때문에 총파업 등 로드맵에 원칙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을 포함해서 단체행동을 할 것인지는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의료연대는 법안 저지를 위해 추가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총파업을) 17일 하루로 끝낼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라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추가 논의를 거쳐 더 강력한 투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의료 단체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에 보건복지부는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열고 파업 자제를 촉구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보건의료인 여러분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의료현장을 지켜 달라”며 “휴진을 자제해 달라”고 말했다.
김유나 차민주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