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우 개선·세대 간 벽 타파 없이 MZ 퇴직 만류하려는 공직사회

입력 2023-04-27 04:06

강원도 춘천시는 지난 22일 새내기 공무원 정식 임용을 기념해 나무심기 행사를 열었다. 신입 공무원은 직접 심은 나무에 자신의 이름을 적은 표찰을 달았다. ‘MZ세대’ 공무원의 자긍심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마련된 자리였다. 그러나 정작 온라인상에서 MZ세대가 보인 반응은 싸늘했다. 현실적 문제에는 눈감고, 보여주기식 행사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MZ세대 공무원의 ‘조기 줄퇴직’이 공직사회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마다 이들을 잡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MZ세대 이해를 위한 연구용역까지 진행 중이지만 앞선 연구의 답습 수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인사혁신처는 MZ세대 공무원이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세대별 의식구조를 고려한 공직문화 혁신방안’ 연구용역 입찰에 들어갔다. MZ세대가 어떤 가치를 중시하는지 분석해 다른 세대와 어울릴 수 있는 공직문화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5년 차 미만 공무원 퇴직자는 지난해 1만693명으로 집계돼 5년 전의 5181명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현장 반응은 냉소적이다. 5년 차 공무원인 A씨(30)는 26일 “공무원 조직 특성상 보수적인 측면이 강해 (세대 간) 벽을 타파할 전략은 현실적으로 없다”고 말했다. 경기도 한 지자체에서 근무 중인 B씨(33)도 “국장, 과장, 팀장, 팀원이라는 질서 속에선 (공직문화 변화에)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인사혁신처는 이번 연구 추진 배경으로 ‘MZ세대가 공직사회 주류로 부상해 조직 내 갈등이 증가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하지만 이런 인식 자체가 MZ세대를 문제의 원인으로 보는 듯한 시각을 드러낸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MZ세대를 공직사회에 긍정적 변화를 주고 있는 주류로 보고 있다”는 인사혁신처 설명과도 대비되는 부분이다.

인사혁신처는 이번 연구용역에 예산 3400만원을 투입했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취지의 연구에 각각 3593만원과 5000만원을 들였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지난해 두 번의 연구가 MZ세대에만 집중했다면 올해 연구는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한 것이고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탈 행렬을 줄이기 위해선 급여나 근무여건 개선 등 현실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행정직 공무원인 C씨(34)는 “현실적인 수준의 급여를 주고 자부심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며 “공무원을 괴롭히는 대민 업무에서 실효적인 보호장치도 만들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