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200일간 4대 부패범죄 특별단속을 실시해 1700여명을 적발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9월 13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공직자 등 4대 부패범죄를 단속한 결과 공직자 355명을 비롯해 1727명을 검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중 25명은 구속됐다. 4대 부패범죄는 금품수수, 재정 비리, 권한 남용, 부정 알선·청탁을 뜻한다.
재정 비리 사범이 997명(57.7%)으로 가장 많았다. 공직자 연루 부패범죄 검거 인원 10명 중 6명가량이 재정 비리 사범인 셈이다. 이 가운데 보조금 편취·횡령 등 보조금 비리 사범이 858명(49.7%)으로 전체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공직자 중에는 국가공무원이 184명(51.8%), 지방공무원은 121명(34.1%)으로 집계됐다. 직급으로 보면 5급 이하는 276명이었고, 4급 이상은 29명이었다.
이들 중엔 가상화폐에 투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예산에 손을 댄 공무원도 있었다.
울산경찰청 울주경찰서는 지난 1월 울주군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출예산 업무를 담당하던 7급 공무원 A씨를 검찰에 송치했다. A씨는 지출예산 업무를 담당하면서 허위로 품의서를 올려 예산 2억1200만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는다.
서울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모바일 게임 전략 수출센터를 설립하고 운영보조금도 지원해주겠다며 한 게임업체 대표로부터 7438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로 강현도 오산시 부시장을 지난달 29일 불구속 송치했다. 경기남부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시의원 공천을 대가로 1억5000만원을 수수하고 2억원을 요구한 박순자 전 국민의힘 의원을 지난해 11월 구속해 검찰에 넘겼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