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도내 시·군을 대상으로 종합안전체험관 부지 공모에 나서자 포항시가 반발하고 있다. 경북도 소방본부는 2027년까지 330억원을 들여 종합안전체험관을 짓기로 하고 시군을 대상으로 최근 공모에 나섰다. 부지와 진입로 개설,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은 해당 시군이 부담한다는 조건이다.
종합안전체험관은 현재 전국 14개 지역에 설치돼 있다. 설치되지 않은 곳은 경북, 전남, 대전, 세종시 뿐이다.
경북도는 인구, 교육수요, 미래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한 뒤 선정위원회를 거쳐 부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포항, 안동, 구미, 영주시 등이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포항 지역에서는 당초 포항에 짓기로 한 안전체험관을 공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포항시에 따르면 2017년 발생한 포항 지진을 고려해 정부와 경북도를 상대로 안전체험관 건립을 지속 건의, 2019년 안전체험관을 포항에 짓기로 도와 합의했다. 도의 요청에 따라 북구 흥해읍을 건립부지로 추천, 공문을 통해 구체적인 협의를 마쳤다. 그러나 정부 예산 확보가 늦어지면서 사업이 미뤄졌다는 것이 포항시 주장이다.
이와 관련, 포항시의회는 20일 결의안을 채택하고 “시와 시의회는 경북도의 안전체험관 부지 공모 발표로 허탈감을 감출 수 없다”며 “도 소방본부는 공모 계획을 중단하고 포항에 즉각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항 11·15촉발 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도 21일 성명을 통해 “도 소방본부가 협의 내용을 무시하고 도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부지를 공모해 포항시민을 우롱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그러나 안전체험관 건립 업무를 담당하는 경북도 소방본부는 합의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도가 지으려고 하는 것은 종합안전체험관이고 포항시는 지진에 특화한 안전체험관을 지으려는 것으로 안다”며 “종합안전체험관을 포항에 짓기로 합의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