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정부, 우크라에 우선 탄약 지원 가능성”

입력 2023-04-20 04:08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보도된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비록 조건부이지만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 지원 가능성을 처음으로 시사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됐다. 러시아의 강한 반발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나 대량 학살 등 전제조건들을 달지 않았느냐”면서 “정부 입장이 변경된 것은 아니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살상무기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방침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방탄 헬멧, 전투식량, 의약품 등을 지원해왔다.

우크라이나가 현재 가장 원하는 군 장비는 탄약과 중장갑차로 알려졌다.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대사는 지난달 27일 “우리는 반격 작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중단 없이 적시에 중장갑차, 포병,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표준의 탄약 및 장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포로마넨코 대사가 언급한 나토 표준 탄약은 155㎜ 포탄이다. 현재 한국 방산업체는 미국 국방부와 155㎜ 포탄의 수출과 관련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에 우선 탄약 지원은 이뤄질 가능성이 크지만, 중장갑차 등 중장비 지원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은 한국이 미국에 탄약을 수출하면서 ‘우크라이나 지원에 쓰면 안 된다’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제는 ‘우크라이나에 지원해도 좋다’고 입장을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 연구위원은 이어 “일부 소총 정도를 직접 또는 우회 지원 방식으로 우크라이나에 보낼 수 있겠지만, 러시아의 반발을 감안할 경우 전차 단계까지 쉽게 지원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또 무기 지원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 변화에 대해서는 미국 등 서방 국가의 압박에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과 유럽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하지 않는 한국을 압박하는 강도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러시아의 반발 가능성에 대해 “한국의 러시아 수출이 많기 때문에 한국산 수출을 막는 식의 경제 보복이 있을 수 있다”면서 “북한과의 군사적 관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러시아가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양 연구위원은 “러시아는 ‘민간인 학살이 거짓’이라고 반발할 것”이라며 “다만 러시아가 상징적인 제재를 가할 순 있겠지만, 완전히 단절하는 조치를 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동성 김영선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