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정자교 보행로 붕괴 사고 등 안전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취약시설 2만6000곳을 일제히 점검하는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을 실시한다.
행안부는 17일부터 2개월간 29개 중앙행정기관, 243개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교량 1280곳, 도로시설 2500곳, 건설 현장 1800곳, 물류시설 120곳, 산사태 위험지역 2500곳 등에 대한 집중안전 점검을 벌인다.
어린이집과 청소년수련원 등도 점검 대상이며, 지난 5일 붕괴한 정자교와 유사한 캔틸레버 구조의 교량도 점검 대상에 포함했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자교와 유사한 구조의 교량 개수를 집계한 뒤 자치단체가 확실히 점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의 경우 2만6363곳에 대한 집중안전점검을 벌여 보수보강 4939곳 등 1만48개의 위험요인을 찾아 조치했다. 올해 집중 안전점검은 점검기관 책임성 강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건축사와 기술사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고 드론, 열화상카메라 등 최신 장비도 적극 활용한다. 기관장 현장 방문 실적 등도 평가에 반영키로 했다.
주민점검 신청제를 도입해 주민 누구나 안전이 우려되는 시설을 발견할 경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점검을 신청할 수 있다. 이후 지자체가 시민단체 등과 함께 점검 대상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점검 결과는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점검 이행실태에 대한 안전감찰도 이뤄진다. 안전감찰반은 허위 점검이나 형식적인 점검, 부실 점검 등을 발견할 경우 엄중 조치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