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고체연료를 사용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의 시험발사 장면을 공개했다. 고체연료 ICBM은 액체연료 방식보다 발사 준비 시간이 짧고 사전 탐지가 어렵다. 시험발사를 참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적들을) 극도의 불안과 공포에 시달리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13일 공화국 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8’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었다”고 14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딸 김주애, 아내 리설주,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과 함께 시험발사 장면을 지켜봤다. 통신은 이번 시험발사의 목적이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의 성능과 단분리 기술, 조종 체계의 성능을 확인하고 군사적 효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발사 성과에 “만족”을 표하고 “화성포-18형 개발은 우리의 전략적 억제력 구성 부분을 크게 재편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사시험 성공으로 액체연료를 사용하던 기존의 북한 미사일도 순차적으로 고체연료형으로 바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또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는 적들에게 더욱 분명한 안보위기를 체감시키고 부질없는 사고와 망동을 단념할 때까지 시종 치명적이며 공세적인 대응을 가하여 극도의 불안과 공포에 시달리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선중앙TV도 이날 오후 ‘화성-18형’ 시험발사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에서 ‘화성-18형’은 발사관 채로 이동식 발사차량(TEL)에 실려 발사장에 들어섰다. 김 위원장이 발사를 승인하자 미사일은 발사관에서 위로 밀려 나온 뒤 공중에서 점화가 이뤄져 하늘로 솟구쳐 올라왔다. ‘콜드 론치’(cold launch) 방식의 발사다.
북한이 이번 시험발사에 콜드 론치 방식을 사용한 것은 고체연료 엔진의 점화 및 추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발사시 충격에 따른 TEL 손상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고체연료 엔진을 탑재한 ICBM을 개발한 것은 연료 주입이 필요 없고 은밀 기동성을 갖춘 TEL을 이용해 신속 발사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고체연료 ICBM을 대량으로 확보하면 더 은밀하고 신속하게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어 우리의 미사일 방어 체계인 ‘킬체인’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과 러시아, 중국이 전력화한 ICBM도 모두 고체연료를 기반으로 한다.
군 당국은 킬체인 무력화 우려를 기우라고 일축했다. 국방부는 이날 “우리 군은 한반도에 대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해 탐지, 타격,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화성-18형’은 지난 2월 인민군 창건일 열병식에 등장한 것으로 차체 크기 등을 고려할 때 미사일 길이가 20m 이상으로 추정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