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소년들이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문화이용권을 지급하고, 특수학교 학생들이 박물관·미술관을 관람할 수 있도록 이동을 지원하는 등 경제적 부담이나 장애 등으로 문화향유가 쉽지 않은 계층의 문화 접근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12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문화약자와의 동행’ 정책을 발표했다. 18개 세부 사업 중 시가 가장 역점을 둔 사업은 서울청년문화패스 사업이다. 이는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만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1인당 공연 관람에 사용할 수 있는 20만원의 문화이용권을 지급하는 정책이다. 청년들은 이를 활용해 서울시가 엄선한 연극·뮤지컬 등을 관람할 수 있다. 시는 19일부터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무료 공연 관람 기회를 제공했던 ‘공연봄날’ 사업은 대상을 중학교 3학년까지로 확대한다.
시는 지난해 시범운영했던 ‘특수학교 학생 박물관·미술관 관람 지원사업’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 작년보다 사업 규모를 늘려 특수학교 총 32곳의 학생·교원 6200명이 참여한다. 시는 활동 보조인, 수어 통역사 등 전문 인력과 전세버스를 지원해 이들이 생생한 문화체험과 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서울시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적은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행한 ‘저소득층 예술영재 교육 지원사업’을 올해도 실시한다. 기준 중위소득 100% 미만 가정의 청소년 중 미술·음악분야에서의 재능 있는 260명의 학생들을 선발해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제공한다.
서울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45만명에게는 문화·여행·체육활동이 가능한 11만원의 서울문화누리카드를 발급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시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을 즐길 기회도 늘린다. 1000원으로 클래식 등 고품격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천원의 행복’은 올해 16회 진행된다.
특히 노인·장애인 등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행복 동행석’의 비중을 늘리고, 16회차 중 4회차는 전석 행복 동행석으로만 운영한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자치구청이나 박물관, 한강 등 서울 곳곳에서 클래식 공연을 펼치는 ‘찾아가는 시민공연’ 사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문화약자를 위한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문화본부 예산의 11%인 635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라며 “시민 모두에게 공정한 접근기회를 보장해 누구나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