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삼산·여천 쓰레기매립장에 전국 최대 규모의 파크골프장 조성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울산시는 추경안에 삼산·여천매립장 부지 매입 예산 398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이 예산으로 완충녹지로 지정된 삼산·여천매립장 부지를 매입해 36홀 기준 132타 규모의 파크골프장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총 부지면적은 삼산매립장 9만9745㎡, 여천매립장 12만6508㎡ 등 22만6653㎡에 달한다. 98% 가량이 롯데정밀화학 소유이고 국·공유지, 일부 사유지가 포함돼 있다.
삼산·여천 매립장은 1970년 국가공단 주변 완충녹지로 지정된 뒤 1981년부터 울산시가 폐기물 매립을 시작해 1994년 매립을 끝내고 지난 2009년 4월말 안정화 기간이 완료된 지역이다. 이후 대중 골프장부터 친환경 생태공원까지 다양한 활용안이 거론됐지만 실제 사업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시는 지난 3월 ‘실외체육시설 타당성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에 들어갔다. 10월 나오는 용역 결과를 통해 롯데정밀화학 등에 매수 협의를 요청하고 2026년에 파크골프장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8년 국제정원박람회 유치에 성공하면 대회 행사장으로도 활용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각 자치단체는 파크골프 인기에 따라 파크골프장 조성 및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울산에는 태화강 둔치와 울산대공원 등 8곳에 파크골프장이 운영 중이다. 앞으로 동구와 북구 중구 울주군 4곳에 추가로 파크골프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4곳이 추가되면 총 12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