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한복판에서 벌어진 납치 살해 사건을 두고 경찰이 사건 발생 초기 차량 수배와 지역 간 공조, 윗선 보고가 지연되는 등의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대응 과정에 일부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하면서도 “현장에서는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3일 기자간담회에서 “(상부) 보고가 늦었던 점은 사실대로 인정한다”며 “왜 (보고가) 늦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수사가 마무리된 뒤 제3기관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오후 11시49분 최초 신고 접수 후 경찰이 범행차량 번호를 특정하는 데는 1시간가량이 걸렸다. 경찰 관계자는 “야간에는 CCTV 해상도가 낮아 식별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경찰이 전국에 공유되는 수배차량 등록시스템 ‘왓스(WASS)’에 범행차량 번호를 등록한 시각은 이튿날 오전 4시57분이었다. 차량 번호를 인지한 시점보다도 4시간여 뒤다. 결국 WASS에 등록되고 나서야 차량이 오전 6시를 넘어 대전을 빠져나가는 게 포착됐다.
피해자 전화는 당일 오전 2시53분까지 켜져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피해자 가족이 30일 오전 11시42분에 실종신고를 했다”며 “휴대전화가 켜져 있었을 때는 피해자가 특정되지 않았던 때”라고 설명했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과 백남익 수서경찰서장은 각각 30일 오전 6시55분, 7시2분에 첫 보고를 받았다. 피의자들이 피해자를 살해하고 시신을 대청댐 인근에 유기한 뒤의 시점이다. 백 서장은 “야간과 휴일은 상황관리관 체제로 관리되고 있다”면서도 “좀 더 빨리 보고가 됐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