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각 항공사가 발표한 경영실적 보고서를 종합하면 중국의 ‘빅3’ 항공사는 지난해 1090억 위안(약 20조7721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409억5700만 위안(약 7조8371억원) 보다 약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기록적인 손실’이라고 전했다.
3대 항공사 모두 큰 폭의 적자를 냈다. 에어차이나는 지난해 386억 위안(약 7조356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여객 운송 수입과 화물 및 우편 운송 수입이 모두 감소했는데, 2021년보다 166억 위안(약 3조1634억원)보다 손실액이 132% 증가한 것이다. 코로나 직후인 2020년 144억 위안(약 2조7442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던 에어차이나는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전체 매출은 529억 위안(약 10조811억원)에 그쳤다.
남방항공은 326억 위안(약 6조2125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2021년 121억 위안(약 2조3058억)보다 손실액이 3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적자 폭이 커졌다. 매출이 461억 위안(약 8조7852억원)으로 31%나 감소한 동방항공은 적자 규모가 3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 정부가 강력한 봉쇄 정책을 편 것이 영향을 줬다. 중국 민간항공국(CAAC) 통계를 따져보면 2022년 중국의 항공 탑승객 수는 2억5000만 명에 그쳤다. 이는 2021년 대비로는 43% 감소한 것이고,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비교했을 땐 38.1%에 불과했다.
그러나 전망은 밝은 편이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말 봉쇄 정책을 폐기하고,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이민국에 따르면 해외 단체 여행 재개 첫날인 지난달 6일 출입국 인원수는 67만6000에 달했다. 국경을 재개방하기 이전과 비교하면 124.2% 증가한 수치다. 남방항공은 “5월까지 국내선 승객 수요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국제선 수요는 코로나 이전의 40%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내 여객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중국 빅3의 적자 폭도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내 항공사들은 중국 항공사와 달리 지난해 유류비, 인건비 등 고정비용 증가에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화물 운송 실적에 힘입어 역대 최대인 13조412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최대 영업이익을 거둔 2021년(1조4644억원)보다 97% 증가한 2조8836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아시아나는 매출액 5조6300억원, 영업이익 733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7.3%, 60.1% 증가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