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국제선 운항 횟수가 코로나19 이전 대비 90% 수준까지 회복된다. 그간 운항이 멈췄던 프라하, 취리히, 마드리드 등 노선도 재개된다.
국토교통부는 9월까지 204개 노선에서 주 4075회의 정기편을 운항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이는 2019년의 88.2% 수준이다. 특히 일본 노선은 92%, 중국은 87%까지 회복할 전망이다.
인천국제공항 출발 나리타(주 144회→168회), 오사카(주 143회→168회), 상하이(주 2회→88회), 칭다오(주 12.5회→137회) 노선 등이 증편된다.
그동안 운항이 중단됐던 인천-프라하, 취리히, 마드리드, 김해-가오슝 구간은 재개된다. 김해-베이징, 대구-상하이, 청주-오사카, 무안-상하이 등 지방공항 출발 노선도 다시 열린다. 인천-뉴어크, 김포-베이징 노선은 신규 취항한다.
지방공항은 취항에 따른 혜택을 늘려 여객 유치를 독려한다. 김해·대구·무안·양양·청주 취항 부정기편에 외국인이 50% 이상 탑승하면 항공사당 최대 16편까지 착륙료를 면제한다. 또 한국에서 환승하는 외국인에 대한 환승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단기 체류 환승 관광객 유치에도 나선다.
국내선 정기편 운항도 임시 증편된다. 제주를 오가는 비행편과 김포-김해 등 수요가 많은 노선은 주 113회 임시 증편된다. 지난해 9월에는 국제선 환승객 전용으로 인천-김해 직항 노선이 운항을 재개했고, 오는 23일부터는 인천-대구 노선이 추가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지상조업 부족 문제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민관합동 항공회복지원단을 구성해 원활한 운항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