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때 실직한 40대 남성 A씨는 생활비를 구하고자 생활정보지를 뒤지다 “신분증만으로 대출이 가능하다”는 광고를 찾았다. A씨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광고된 전화번호로 연락해 대출을 받았으나 알고 보니 ‘내구제대출’이라 불리는 휴대폰깡이었다. 대출 과정에서 신분증을 내준 A씨는 결국 수십 대의 휴대폰이 개통돼 수백~수천 만원의 빚을 지게 됐다. A씨는 소액생계비대출을 받아 급한 불을 끈 뒤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으로부터 불법 사채·추심 문제에 대응할 법률 대리인도 소개받았다.
대형 마트 계산원으로 일하던 40대 여성 B씨는 최근 자궁근종 등 병으로 일을 그만뒀다. B씨는 수술비와 생활비가 필요해 은행·저축은행 등 금융사 창구를 찾았지만 “직장과 일정한 소득이 없어 대출이 불가능하다”는 답을 받았다. B씨는 소액생계비대출이 출시됐다는 소식을 듣고 센터를 찾아 돈을 구할 수 있었다. 서금원은 B씨의 재취업 의사를 확인한 후 취업 지원 서비스를 연결해줬다. 취업 상담사는 B씨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앉아서 일할 수 있는 경리 직군 일자리를 소개했다.
2일 서금원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소액생계비대출이 출시된 지 5일째인 31일까지 모두 5500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소액생계비대출이란 연 소득이 3500만원을 넘지 않고 신용 평점 하위 20% 이하인 취약층에게 연 9.4~15.9% 금리로 최대 100만원을 빌려주는 제도다. 31일까지 지급된 소액생계비대출액은 35억1000만원이다. 1인당 평균 64만원이었다.
소액생계비대출을 신청했지만 돈을 받지 못한 경우는 250건이었다. 소득이나 신용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조세 체납, 금융 질서 문란 등 이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2240건에 대해서는 소액생계비대출과 함께 복지 연계, 취업 지원 등 복합 상담이 이뤄졌다.
소액생계비대출 신청자의 절반 이상은 30~40대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서금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24일 소액생계비대출 예약 2만5400건 중 40대 신청분은 5380건(31.1%), 30대는 4310건(25%)으로 각각 집계됐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