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대전시에 12번째 ‘희망디딤돌’을 놓는다. 삼성 희망디딤돌은 아동양육 및 가정위탁시설에서 생활하다 보호종료 기간 만료를 앞뒀거나 보호종료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시설이다. 삼성에서 건립비용을 모두 댄다.
삼성은 지난 29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전시 아동복지협회와 보호아동·자립준비청년의 자립을 지원하는 ‘삼성 희망디딤돌 대전센터’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자리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유재욱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전지회장, 양승연 대전시 아동복지협회장이 참석했다. 삼성전자에선 이정배 DS부문 메모리사업부장(사장)과 최완우 DS부문 사회공헌단장(부사장) 등 희망디딤돌 사업 고위 관계자들이 총출동했다.
대전센터는 올해 11월 문 여는 걸 목표로 한다. 내년 2분기 개소 예정인 충북센터를 포함하면 희망디딤돌 센터는 12개로 늘어난다. 2016년 부산센터를 연 뒤 지난해까지 지원을 받은 청소년은 누적 기준 1만6760명에 달한다. 이 사장은 “삼성 희망디딤돌은 보호아동·청소년의 자립을 돕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2013년 임직원의 성금과 아이디어로 출발해 한층 의미가 깊다”면서 “현재 10개 광역시·도에서 센터를 운영 중인데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희망의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센터는 최대 2년 동안 1인1실로 거주할 수 있는 생활실, 체험실 등 20여개 주거·체험 공간과 공동생활 공간으로 꾸며진다. 특히 다른 희망디딤돌 센터와 달리 ‘상담실’을 별도로 설치할 계획이다. 수행기관은 아동복지협회다. 20년 가까이 아동복지운동을 한 양 회장은 “대전시 자립지원 전담기관에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임상 심리상담사 2명이 상주하고 있다. 희망디딤돌 대전센터를 주거시설뿐 아니라 자립준비청년이 언제든지 기댈 수 있는 정서적 지지 기반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삼성은 지난해부터 임직원 각자가 원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골라 기부하도록 운영 방식을 바꿨다. 인기가 가장 많은 사업이 희망디딤돌이다. 전문 코치자격을 취득한 임직원 30여명은 센터에 입주한 청소년의 멘토단으로 활동한다. 지난해 10월까지 시범 운영했고, 올해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이 사장은 “삼성은 ‘청소년 돕기’와 ‘상생’을 핵심 키워드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화했다”면서 “기업의 이익창출이라는 일차적 목표를 넘어 사회와 발맞춰 성장하는 의미 있는 사회공헌에 더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