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공개 결과 2037명 중 재산 총액 1위는 총 532억원을 신고한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으로 나타났다. 윤리위가 29일 공개한 ‘2023년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조 구청장은 종전보다 4억7900만원 늘어난 532억5500만원을 등록했다.
조 구청장의 재산 대부분은 부동산이었다. 서울 강남·서초·인천 강화·충남 당진 일대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토지 총 131억9500만원, 건물 360억2900만원 등이다. 여기엔 경기 고양 일산·강원 속초 오피스텔 39채, 일산 상가 28채도 포함됐다.
검사 출신인 이원모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은 443억9300만원으로 총액 2위를 기록했다. 지난 신고보다 2억200만원 재산이 줄었다. 이어 임준택 수협중앙회장(311억5581만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293억7624만원) 등 순이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재산은 가족 소유 재산을 포함해 64억3928만원으로, 종전보다 5억3701만원 늘었다. 오 시장은 그동안 가지고 있던 상장주식 가운데 신라젠(257주)을 제외한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 시 관계자는 “신라젠은 지난해 10월 거래중지가 풀렸는데 오 시장은 이태원 참사 등으로 이를 처분할 경황이 없었다”고 말했다.
법원과 헌법재판소 고위직 158명의 평균 재산은 37억8570만원이었다. 117명의 순재산이 지난해보다 늘었다. 재산 100억원이 넘는 ‘자산가 법관’은 10명이었다. 가장 재산이 많은 법관은 윤승은 법원도서관장으로 198억6994만원을 신고했다. 천대엽 대법관은 신고 재산이 3억3450만원으로 고위 법관 중 가장 적었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18억1058만원,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은 36억5276만원을 신고했다.
법무부·검찰 재산공개 대상자 50명의 평균 재산은 24억9200여만원이었다. 노정연 부산고검장이 80억6238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노 고검장은 지난해 56억3761만원을 신고했는데 분양가로 계산됐던 반포동 아파트 2채 가격이 올해 공시가격으로 반영돼 신고 재산이 늘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43억8509만원, 이원석 검찰총장은 22억624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치안감 이상 경찰 고위직 36명의 평균 재산은 17억7387만원이었다. 지난해 평균 15억7063만원보다 약 2억원 증가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전세권과 예금 등 11억9343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강준구 이형민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