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정부 정무·고위공무원의 35%가 직전 재산공개 내역에 비해 1억원 이상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위가 29일 공개한 2023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대상자 2073명 중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1501명(73.6%)이었다. 1억원 이상 재산이 증가한 대상자는 모두 715명(35.1%)에 달했다. 재산 증가분이 5000만~1억원 대상자는 307명(15.1%), 1000만~5000만원은 367명(18.0%), 1000만원 이하 증가자는 112명(5.5%)이었다.
윤리위 관계자는 “토지 개별 공시지가와 공동·단독주택 공시가격 등 각종 가액 변동요인이 상승했고, 급여 저축과 상속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개별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9.9%,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17.2%,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7.4% 각각 증가했다.
공개 대상자의 신고 재산은 평균 19억4625만원이었다. 본인 소유 평균 재산액은 10억2308만원(52.5%)이었고 배우자 소유 재산은 7억3870만원(38.0%), 직계존비속 소유재산이 1억8446만원(9.5%)이었다. 공개 대상자 중 812명(40.0%)이 10억원 미만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 신고 대비 동일 공개자의 재산 증가액은 2981만원이었다.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 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가액 변동으로 인한 재산 증가가 3003만원, 주식 매각이나 채무 증가 등으로 인한 순재산 감소 폭은 22만원으로 나타났다.
재산이 감소한 공무원은 536명(26.4%)이었다. 1억~5억원 감소 및 1000만~5000만원 감소가 각각 156명(7.7%)을 차지했다. 이어 5000만~1억원 81명(4.0%), 5억원 이상 75명(3.7%) 등 순이었다. 재산 감소 주요 원인은 코스피주가지수 하락(741포인트)과 생활비 지출, 자녀 결혼 등으로 인한 재산 등록 제외 등이 꼽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