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종수(사진) 제2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이 29일 취임 일성으로 “진일보한 수사경찰이 되겠다”고 밝혔다. 그는 “경찰 수사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한층 높이고 국민이 경찰 수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우 본부장은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경찰 수사역량 강화’와 ‘책임 있는 수사’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국 시도경찰청과 일선 경찰서의 개별 사건에 대한 국수본의 수사지휘와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검찰 조직에서의 대검찰청과 같은 수사 사령탑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다.
최우선 과제로는 범죄 척결을 내세웠다. 전세사기·보이스피싱 등 서민 대상 금융범죄, 마약범죄, 건설현장 폭력행위에 대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했다. 또 스토킹·가정폭력·아동학대의 경우 범인 검거는 물론 범행 이후 피해자의 회복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범인 검거가 수사의 최고 목표로 인식됐지만 이제 국민들은 범인 검거는 물론 피해 회복도 수사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2대 국수본부장 인선은 검찰 출신인 정순신 변호사가 아들의 학교폭력 문제로 임명 하루 만에 낙마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마무리됐지만 우 본부장 앞에는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출범 2년이 지나도록 존재감이 희미한 국수본의 위상을 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많다. 검경수사권 조정으로 경찰은 검사 지휘 없이 대부분의 형사사건을 수사하고 종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됐다. 내년부터는 국가정보원의 대공수사권까지 경찰로 넘어온다. 우 본부장으로서는 경찰의 수사역량을 증명하는 동시에 수사 독립성·중립성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