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군에 들어서는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이 본 궤도에 올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두산에너빌리티와 3조원 가까운 규모의 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을 체결했다. 정부는 원전 기자재 업체를 대상으로 2000억원 규모의 특별금융 프로그램도 실시한다. 이를 통해 고사 위기에 놓였던 원전 생태계를 올해 안에 완전 정상화 단계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수원은 이날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2조9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 체결식을 열었다. 원전 주기기는 원자로와 증기 발생기, 터빈 발전기 등을 가리킨다. 원전 주기기 계약은 검토 시점부터 체결까지 통상 30~37개월 가량 걸리지만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검토 인력을 대폭 확대해 준비 기간을 8개월로 단축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향후 10년 간 원전 산업계에 3억원 규모의 일감이 공급될 전망이다. 한수원은 사업 초기 3년 동안 계약 금액의 절반 가량인 1조4000억원을 집행키로 했다. 이미 지난달까지 450억원 규모의 일감을 협력사에 발주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내로 약 2100억원의 일감을 추가 발주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 상반기 안에 신한울 3·4호기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마친 뒤 각각 2032년과 2033년에 건설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한수원은 2017년 정부 허가를 취득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작업에 돌입했다. 다만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로드맵에 따라 그해 10월 시공 절차가 전면 중단됐다. 이후 탈원전 폐지를 내세운 윤석열정부가 출범하면서 6년 만에 건설 절차가 재개된 것이다.
정부는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총 2000억원 규모의 특별금융 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오는 31일부터 500억원 규모 자금 대출이 시작되고 8월에는 1500억원 규모 대출이 추가로 예정돼 있다. 정부는 약 연 3~5%대의 저금리 대출을 통해 원전 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할 방침이다.
신한울 3·4호기와 달리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2호기는 다음 달 8일 부터 가동이 중단된다. 1983년 4월 가동 이래 40년 간의 설계수명이 종료됐기 때문이다. 한수원은 2025년 6월 재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650㎿(메가와트) 규모의 고리 2호기가 멈춰서면 이번 여름 국내 전력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산업부는 고리 2호기의 공백을 채우고자 다른 발전기 정비일정 조정과 출력 상향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