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대표이사 직무대행 체제에 돌입했다. 직무대행 체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붙여 빠른 시일 안에 경영을 정상궤도에 올리겠다는 목표다. 초유의 경영공백 사태를 수습할 임시 수장에는 박종욱 경영기획부문장(사장)이 임명됐다.
KT 이사회는 28일 사내이사로 등재된 구현모 현 대표와 윤경림 차기 대표 후보의 사임 안건 등을 의결했다. 구 대표는 오는 31일 정기 주주총회일까지 임기다. 하지만 대표 대행을 세우고 조기에 물러나는 방법을 선택했다. KT 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으로 사내이사를 겸임했던 윤 후보도 이사회 의결을 거쳐 공식적으로 회사를 떠났다.
구 대표와 윤 후보의 중도 하차에 책임을 지고 김대유·유희열 사외이사도 동반 사임했다. KT는 “사외이사들이 최근 일련의 과정에 대한 무거운 책임을 느끼며 사의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차기 대표를 새로 뽑을 때까지 박 사장은 임시로 회사를 이끈다. KT 정관 및 직제규정에서 정한 편제 순서에 따라서다.
KT는 “현재 위기 상황을 조기에 정상 경영체제로 돌리기 위해 대표 직무대행과 주요 경영진으로 구성한 비상경영위원회를 신설해 집단 의사결정 방식으로 전사 경영·사업 현안을 해결하겠다. 비상경영위원회 산하에 ‘성장지속 TF’과 ‘뉴거버넌스 구축 TF’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T 이사회는 TF에서 내놓은 개선안을 토대로 새 사외이사를 선임한 뒤 대표 선임 절차를 다시 추진할 방침이다. 지배구조 개선 작업과 두 차례 임시 주주총회 개최 등을 포함해 새 대표 선임까지 약 5개월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
박 사장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글로벌 스탠다드를 넘어선 지배구조로 개선하고 국내 소유분산기업 지배구조의 모범사례로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