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평 선교사는 들었던 선교사이고, 아이사 아더는 만났던 선교사입니다. 두 분의 이야기를 잠시 해보겠습니다. 서서평 선교사는 주로 영양실조를 앓았다고 합니다. 서서평은 임종이 가까워지자 주위 사람들에게 찬송가를 불러달라고 했습니다. 찬송 소리를 들으며 기뻐하던 그녀는 찾아온 사람들의 얼굴을 한 번씩 보고 난 후 “이젠 아무것도 없습니다. 먼저 가니 하늘나라에서 다시 만납시다”라고 말하고 웃는 모습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서서평 선교사는 1912년 미혼의 몸으로 한국에 와서 1934년 세상을 뜰 때 그녀의 나이 54세였습니다. 한국에 머물던 22년 동안 자신의 삶을 바쳐 가난한 이웃을 돌봤습니다. 마지막으로 그의 시신은 유언대로 의학용으로 기증됐습니다. 그녀의 장례는 서서평의 헌신과 희생에 감동한 지역 사회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광주 최초로 사회장으로 거행됐습니다. 병원과 학교를 설립하고 사회 구제사업 등 서서평 선교사가 한 사역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 다 기록하지 못했습니다.
서부 아프리카 기니비사우에서 54년간 사역을 하다 떠난 아이사 아더는 서서평 선교사가 세상을 떠날 때 스코틀랜드에 있었고, 그녀의 나이는 10살이었습니다. 서서평 선교사처럼 일생 홀로 살았고 32살 간호사로 선교사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그는 WEC 선교사였는데, 대서양을 배로 건넌 마지막 선교사였습니다. 이후 간호사로 사는 삶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고아들을 돌보는 인생을 살았고, 전쟁이 한창이던 때도 성경 번역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아이사 아더는 평생을 기니비사우를 위해 살았지만, 기니비사우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기니비사우에 묻혔습니다. 아더 선교사의 장례 역시 수많은 현지인의 추모 속에서 이뤄졌습니다.
이 위대한 여성들은 누구인가요. 선교사의 죽음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을까요. 두 선교사가 남긴 것은 버린 것뿐이었습니다. 서서평 선교사는 자신의 시신마저 의학용으로 기증하면서 모든 것을 비워버렸고, 아이사 아더가 남긴 것은 성경을 번역하던 타자기가 전부였습니다. 비우는 것이 남기는 것임을 아는, 예수 믿는 사람이었고 사명자였습니다. 우리는 각자의 사명이 달라도 두 여성과 같은 믿음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이 땅을 떠날 때 믿음과 인격을 남긴다고 합니다. 두 여인은 죽었지만 그 믿음은 지금도 남아있습니다. 제 책상 앞에 꺼내 놓은 아이사 아더의 낡은 사진 속 모습이 유난히 아름다워 보입니다.
버린 사람은 역사의 기록 속에 남아 여전히 살아있고, 채운 사람은 역사의 기록 속에서 매일 버려지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아이사 아더 선교사도 서서평처럼 찬송가를 들으며 이 땅을 떠났습니다. 제가 2009년 기니비사우에서 만났던 아이사 아더는 당시 85세였고 10개월 후인 2010년에 86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언하심이라 그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지금도 말하느니라.”(히 11:4)
예수 믿는 사람은 가진 것으로 말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예수 믿는 사람은 믿음으로써 말하는 사람입니다. 주님의 은혜가 여러분에게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샬롬.
김상철 내가사랑하는교회 목사
◇내가사랑하는교회는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소속 교회입니다. 교회는 공동체를 돕는 사역과 문화 사역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김상철 목사는 ‘제자, 옥한흠’ ‘중독’ ‘부활: 그 증거’ 영화감독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델회복공동체를 통한 상담 사역을 통해 복음을 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