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면서 은퇴자를 위한 정책, 노후생활 관련 논의가 활발하다. 국민연금공단의 ‘노후준비지원 서비스 제공 현황’(2021년)에 따르면 ‘노후준비 상담’ 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20년의 경우 12만1982건으로 2013년(5만1676건)보다 2.4배나 늘었다.
일부 대형교회가 은퇴 목회자의 거액 전별금 문제로 내홍을 겪고 있지만 한국교회의 70~80%를 차지하는 소형교회에서 사역한 대다수 목회자의 이야기는 다르다. 경제적 부분과 정체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이중고’는 한국교회에 경종을 울린다.
평소 척박한 환경에서 사역하기에 노후 준비는 이들에게 ‘언감생심’이다. 은퇴 전까지 몸담았던 교회는 후임 목회자에게 부담을 줄까 봐 출석하지 못하고 교회에 덕을 세운다는 명목으로 ‘잊혀진 존재’로 노후를 살아가는 목회자 부부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에 소속된 서울포럼(위원장 송성규 목사)은 지난 23일 경기도 양주새순교회에서 ‘목사직의 은퇴와 준비’라는 제목으로 12회 포럼을 열었다.
‘한국교회 내 은퇴목회자의 삶과 딜레마’라는 주제로 발제한 이현철 고신대 기독교교육과 교수는 “소형교회 목회자의 경우 은퇴 후 생계를 위한 일정한 수입원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은퇴 후 삶의 질적 수준을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고 지적했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은퇴 목회자에겐 교단 차원의 지원책이 필수다. 이 교수는 “교단이 은급재단 혹은 관련 제도 등에 목회자들이 가입하도록 하고 월납입 금액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은퇴 목회자들이 가장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택 문제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교회가 사택 준비를 위한 목적헌금을 5년, 10년, 15년 등 장기적·체계적으로 준비한다면 갑작스러운 예산 준비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은퇴 전부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포럼 등의 활동이 사역 현장에서부터 연계돼 체계적으로 준비돼야 한다”고 전했다.
대다수 은퇴 목회자와 사모들은 그동안 섬겼던 교회에서 자신들을 ‘지우는’ 과정을 보낸다. 이 교수는 이와 관련해 이들이 소통할 수 있는 네트워크도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룰 교단 상설기구나 위원회 구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